1. 버전 관리란?
1) 사본이라는 것이 버전 관리라는 것을 의미한다.
2. 버전 관리 도구들
1) git은 분산형의 버전 관리 도구이다. 2) 원래는 같은 시간대에 일을 같이 해야 한다. git은 멀리 떨어져도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3. 분산형 관리 도구들
1) 비연결형 : 2) Git : 로컬 버전 관리만 해주고 같이 모여서 병합하는 과정을 해준다.
4. 우리가 해야 할 것.
버전을 만들고 프로젝트를 merge할 수 있어야 한다.
5. Git 초기 설정 :
1) Git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아서 Git Bash 프로그램 사용할 것이다. 2) 또한, VSCODE로 이용해서 버전 관리를 할 것이다. 3) 로컬에 저장하는 Git 파일 저장 폴더를 만든다.
6. Git 로컬 저장소 만들기
1) 임의의 폴더를 만들고 VSCODE에서 “ctrl” + “`“를 입력해서 터미널 창을 열고 설정창에서 git bash를 열기
2) .git 폴더는 숨김 파일이다.(ex) 사진함 같은 존재)
3) stage에 파일 올리기, index에 파일 올리기 : 로컬 폴더에서 stage로 추적되게 준비해주기.
4) add(기본 staging에 사용), commit, revert, rm
5) git init, git status, 초기 설정 시, 이메일과 이름 설정
6) 옵션 추가 -> git commit -m “초기 프로젝트” : 편집기 안 거치고 바로 메세지 입력 가능
7) git log : 커밋후 확인
8) 수정된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추적을 해줘야 한다.(add 필요)
9) git log –oneline : 커밋된 결과가 길어서 한 줄로 간단히 보고싶을 때, 사용
10) git log가 길어져서 잘 안쓰인다. 즉, branch에서는 한눈에 볼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플러그인이 필요하다.(VSCODE 이용)
11) 따라서, VSCODE에서 확장 파일에서 git graph 설치해서 소스제어탭에서 그래프로 확인가능.
12) 추가로 공부하기 : pull, clone, push, commit 라는 용어 공부하고 나중에 버튼으로 간단히 이용하기
13) branch는 여러 줄로 사용해야한다. 이때, 충돌 오류 공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