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 - SpringBoot 개발 공부

1. SpringBoot 프로젝트 진행 시, 주의할 7가지 내용** 1) Raw 타입은 사용하지 말자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선언에 타입 매개변수가 쓰이면 이를 제너릭 클래스 혹은 제너릭 인터페이스 List 인터페이스는 원소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매개변수 E를 받는다. a. Raw 타입이란? Raw 타입이란, 제너릭 타입에서 타입 매개 변수를 전혀 사용하지 않을 때를 말한다. 예를 들어 List를 선언할 때 List만 선언해 놓은 경우를 말한다. 실습 코드 : private final Collection stamps = ...; 이 코드를 ...

더보기

Project - 채팅 기능 테스트 1

1. 채팅 기능 테스트 1 : 230301 내용 : WebSocket을 이용하고 Postman의 API 테스트를 통해 JSON 타입의 데이터로 전송으로 채팅이 가능하도록 테스트 목표 : 스프링부트의 롬북 기능, jackson 패키지의 ObjectMapping 클래스를 통한 JSON 타입의 데이터 바인딩, HTTP 프로토콜과 WebSockek에 관한 내용 학습 1) WebSocket a. WebSocket 개념 기존의 단방향 HTTP 프로토콜과 호환되어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토콜. 일반 Socket통신과 달리 HTTP...

더보기

TIL - 14주차 코드

1. 스프링 부트 : 230227 4대 저장소 : Session 저장소, Request 저장소 Application 저장소 = servletContext의 형식 명칭 Page 저장소 = pageContext 명칭 1) 파일 전송 설정! 파일 전송의 location 설정은 기본 설정으로 하자. theshold 설정도 디스크가 사용하는 메모리량이라서 우리가 설정할 부분이 아니다. application.properties 설정! spring.servlet.multipart.max-file-size=100MB #각각의 파일 용량 spring.servlet.m...

더보기

CS - 운영체제(3)

1. Memory Management 1) Logical versus Physical Address Logical address( = virtual address) 프로세스마다 독립적으로 가지는 주소 공간 각 프로세스마다 0번지부터 시작 CPU가 보는 주소는 logical address임 Physical address 메모리에 실제 올라가는 위치 주소 바인딩: 주소를 결정하는것 Symbolic Address(변수이름, 함수이름) → Logical Address → Physic...

더보기

Git - Git 공부

1. Git 시작 Git 참고 사이트 1) VSCODE 에서 이용 vscode에서 터미널 탭 - 새 터미널 클릭 후 ctrl + shift + p 입력 후 검색 창에서 select default bash 입력 후 bash 선택 2) 로컬에서 git 명령어 정리 : git –help로 검색어 공부 git init으로 초기화 해주기 git add ~~ : 추적 상태로 만들기 git rm –cached lecture-schedule.html : 현재 추적 상태이지만 그 상태를 빼주기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더보기

TIL - 13주차 코드

1. Front Controller : 230220 1) 이전 시간 복습 서블릿을 통한 입출력은 request와 response 밖에 없다. 이전 시간에는 서블릿을 통해서 입력 받는 방법을 배움. 앞으로는 기존 컨트롤러에서 입력부분과 Dispatcher 부분이 잘려나가고(서블릿 부분이 잘려나간다.) 순수 자바코드인 POJO만 남는다. 잘려진 부분은 클라이언트 쪽으로 보낸다. 2) POST 전송 방식(GET 요청과 비교!) 중요! : GET 요청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데이터를 달라고 요청하...

더보기

CS - 운영체제(2)

1. CPU Scheduling 들어가기 전 1) CPU burst, IO burst(앞 강의 내용) a. CPU burst, IO burst 개념 Process를 실행하면, CPU 가 사용되는 부분이 있고, IO 가 사용되는 부분이 있음. CPU를 사용하는 단계를 CPU burst, IO 를 사용하는 단계를 IO burst 라고 함. process 가 실행된다는 것은, CPU burst 와 IO burst 를 반복하며 실행한다는 것. b. 표에서 CPU burst, IO burst 위의 표에서 x 축은 CPU burst 실행 시간, y 축은 빈도 컴퓨터 내...

더보기

TIL - 12주차 코드

프로젝트 개발 : 우리가 만들 프로젝트는 서버측에서 스프링부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RESTful API로 전송하기만 하고 클라이언트측에서 이러한 데이터를 받아서 클라이언트 측에서 전반적인 웹 개발(대부분의 업무 로직)을 진행한다.** 이클립스 자동완성 : option + space 1. Servlet, JSP : 230213 1) 웹 서버 프로그래밍 ‘동적이다’라는 의미 : 클라이언트가 요청하거나 서버를 실행할 때, 문서가 만들어 진다. 현재 코드의 문제점 : 데이터를 출력하는 코드와 입력하는 코드가 섞여 있다. I/O 작업과 메모리 작업이 매우 다르다. 메모리 작업이 빨라서 먼...

더보기

CS - 운영체제(1)

1. Intro 1) 요약 : 운영체제 개요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프로세스 관리 CPU 스케줄링 병행 제어 데드락 메모리 관리 가상 메모리 파일 시스템 입출력 시스템 디스크 관리 2) 운영체제란 무엇인가? a. 운영체제란? : 컴퓨터 하드웨어 바로 위에 설치되어 사용자 및 다른 모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계층 b. 하드웨어와의 인터페이스 사용자 및 각종 소프트웨어와의 인터페이스 : 컴퓨터를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c. 운영체제의 목표 운영체제는 동시사용자/프로그램들이 각각 독자적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

더보기

TIL - 11주차 코드

1. OracleDB, 서브쿼리, join : 230206 1) 서브쿼리 기존 sql문은 에러가 발생한다. ORDER BY 의 순서가 중요하다! SELECT * FROM MEMBER ORDER BY REG_DATE DESC WHERE ROWNUM BETWEEN 1 AND 10; 먼저 실행될 것이 있다면, 서브쿼리를 사용한다! SELECT * FROM ( SELECT * FROM MEMBER ORDER BY REG_DATE DESC ) WHERE ROWNUM BETWEEN 1 AND 10; 문제점 : 하지만, 2page가 나오지 않는다! ROWNUM을 이용하고 서...

더보기

HTML,CSS - CSS Study(3)

1. Grid 레이아웃 59강) Grid 레이아웃 학습 개요 손쉬운 격자형 레이아웃이다. 이전에는 격자형 레이아웃을 바로 할 수 없었다. 1) Grid 용어 : Track : 한 열을 의미한다. Gutter : 열과 열의 사이 간격 Cell : 그리드 중 1칸을 의미한다. Area : 여러 Cell들의 묶음을 의미한다. 2) Grid 기본 속성 : grid-template-columns : 그리드의 열을 구성. grid-template-rows : 그리드의 행을 구성. 3) 실습 코드 : .grid-box{ display: grid; grid-template-...

더보기

Project - 1th 프로젝트

1. 1차 Project 관련 글 : 230202 1) DB 설계 : a. 필수 : Member/Stuff/list.html라고 하면, MEMBER 테이블 필요, STUFF 테이블 필요, 참여방 관련 테이블이 따로 필요하다. 총 3중 연결 DB! MEMBER 테이블은 회원 정보 관련 테이블이다. STUFF 테이블은 글 등록 관련 테이블이다.(여기에 카테고리 테이블을 연결시켜줘야 하는가? 카테고리를 STUFF 테이블에 넣어줘도 된다.) 참여하는 방 관련한 테이블이 따로 필요한가? 참여한 사람에 대한 정보가 한가? 참여한 사람에 관해서 b. 선택 : 기본적인 DB에 칼럼을 추가하는 것이...

더보기